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부, 산불 피해 농가에 긴급 재난지원금 및 생활안정자금 지원 추진

by 하이앤골드 2025. 4. 2.

사진출처 : 문화체육관광부(국민소통실) 촬영일 : 2025.03.31 촬영장소 : 경상남도 > 산청군 시천면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된 산불로 농업 분야의 피해가 심각해짐에 따라, 정부가 피해 농가를 대상으로 신속한 재난지원금과 생활안정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생계비와 학자금 지원부터 농기계 무상 임대 및 재해보험금 신속 지급까지 종합적인 지원책이 발표되었습니다.

오늘은 정부의 산불 피해 농가 지원 방안을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산불 피해 농가 대상 생계비·학자금 긴급 지원

농림축산식품부와 행정안전부는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농가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긴급 생활 지원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    피해율 50% 이상 농가 대상
  •    생계비:
    •    2인 가구 기준 120만 원 (1회 지급)
    •    4인 가구 기준 187만 원 (1회 지급)
  •    학자금 지원:
    •    1학기당 100만 원 지급

이와 같은 긴급 지원은 산불로 인해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피해 조합 및 농업인 대상 긴급생활안정자금 지원

정부는 피해를 입은 농업인과 조합의 경영 안정을 위해 긴급생활안정자금 지원도 추진합니다.

  •    피해 조합에 재해자금 2,000억 원 무이자 지원
  •    피해 조합원 세대당 최대 3,000만 원 긴급생활안정자금 지원
  •    농가 경영과 생활 안정화 촉진 목적

자금의 신속한 지원을 통해 피해 농가가 빠르게 영농활동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방침입니다.


농업인 피해 지원: 재해보험금 신속 지급

산불 피해를 입은 농업인을 위한 재해보험금 지급도 빠르게 이루어질 계획입니다.

  •    피해 신고 즉시 조사 착수, 신속한 보상 진행
  •    추정 보험금의 50%를 농업인이 희망할 경우 우선 지급 가능
  •    신속한 보험금 지급으로 피해 복구 속도 제고

정부의 빠른 대처로 농업인들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영농 재개를 위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합니다.


영농 복귀를 위한 농작물·농기계 무상 공급 및 임대 지원

정부는 피해 농가의 신속한 영농 복귀를 위해 다양한 실질적 지원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    농작물 지원:
    •    정부 보유 볍씨 무상 공급
    •    과수 묘목 민간업체 보유분 우선 공급
  •    농기계 지원:
    •    피해 농가 대상 농기계 무상 임대
    •    농기계 점검 및 무상 수리 지원 실시

이러한 지원책을 통해 농가가 하루빨리 정상적인 농업 활동을 재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축산 농가 긴급 지원 대책: 사료 무상 지원 및 축사 복구

산불로 피해를 입은 축산 농가를 위한 전방위적 지원책도 발표되었습니다.

  •    사료 구매자금 1,100억 원 피해 지역 우선 지원
  •    피해 사료 전량 교체, 농가당 최대 240포(20㎏) 무상 지원
  •    화상 피해 가축 진료 및 축사 복구 지원
  •    ASF 등 전염병 예방 위한 멧돼지 포획 및 방역 강화

정부는 축산 농가의 피해 확산 방지와 안정적인 축산업 복귀를 위해 전면적인 지원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농산물 수급 안정 위한 피해 상황 모니터링 지속

정부는 산불 피해가 농산물 수급 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철저한 모니터링을 실시합니다.

  •    수확기까지 농작물 생육 상황 지속 모니터링
  •    농산물 수급 안정화를 위한 선제적 대응 추진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산불로 인한 농산물 가격 불안을 방지하고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계획입니다.


정부의 산불 피해 농가 지원, 빠른 복구 기대

이번 정부의 종합적인 산불 피해 농가 지원 대책은 빠른 시일 내 농가들이 안정적인 생활과 영농 활동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피해 농가들에 대한 신속하고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산불 피해 농가의 빠른 복구와 안정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